법원행시 42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헌법 1책형 문제25번(정답 4) 26번(정답 4)직업수행의 자유, 기본권 경합과 충돌

25번과 26번은 비교적 간단하고 쉬워서 4번임이 명확한 편이라 관련 판례를 굳이 나열하지 않겠습니다.직업수행의 자유와 직업선택의 자유와 관련해 기본권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당연히 경중이 다를것이며,지본권 경합과 충돌은 기본권의 주체가 같은지 다른지를 구별하면 되기 때문에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하나의 규제로 인하여 여러 기본권이 동시에 제약을 받는 기본권 경합의 경우에는 기본권 침해를 주장하는 청구인의 의도 및 기본권을 제한하는 입법자의 객관적 동기 등을 참작하여 사안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고 또 침해의 정도가 큰 주된 기본권을 중심으로 해서 그 제한의 한계를 따져 보아야 하는바, 이 사건의 주된 쟁점은 무한연대책임의 부과로 인하여 청구인의 재산권이 침해되는지 여부이므로, 심판대상조항이 청구인의..

법원행시 2025.01.02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헌법 1책형 문제24번(정답 4) 재판의 전제성

2번인줄 알았는데 4번이 정답이네요. 4번 관련 헌재결정 2016. 10. 27. 선고 2014헌마709 결정 1. 이미 위헌결정이 선고된 법률조항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를 각하한 사례1. 헌법재판소는 2016. 3. 31. 성인대상 성범죄로 형을 선고받아 확정된 자로 하여금 그 형의 집행을 종료한 날부터 10년 동안 의료기관을 개설하거나 의료기관에 취업할 수 없도록 한 청소년성보호법(2012. 12. 18. 법률 제11572호로 전부개정된 것) 제56조 제1항 제12호 중 ‘성인대상 성범죄 중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2조의 범죄로 형을 선고받아 확정된 자’에 관한 부분이 헌법에 위반된다고 결정하였다(헌재 2016. 3. 31. 2013헌마585등). 그에 따라 위 조항은 효력을 상실하였..

법원행시 2024.12.23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헌법 1책형 문제22번(정답 3번)

3번 관련 법률국가인권회법제30조(위원회의 조사대상)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인권침해나 차별행위를 당한 사람(이하 “피해자”라 한다) 또는 그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나 단체는 위원회에 그 내용을 진정할 수 있다. 1.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 「고등교육법」 제2조와 그 밖의 다른 법률에 따라 설치된 각급 학교, 「공직자윤리법」 제3조의2제1항에 따른 공직유관단체 또는 구금ㆍ보호시설의 업무 수행(국회의 입법 및 법원ㆍ헌법재판소의 재판은 제외한다)과 관련하여 「대한민국헌법」 제10조부터 제22조까지의 규정에서 보장된 인권을 침해당하거나 차별행위를 당한 경우2. 법인, 단체 또는 사인(私人)으로부터 차별행위를 당한 경우② 삭제 ③ 위원회는 제1항의 진정이 없..

법원행시 2024.12.17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헌법 1책형 문제21번(정답 2번) 선거운동의 자유

4번 관련 판례  2023헌가4가. 일정기간 동안 선거에 영향을 미치게 하기 위한 벽보 게시, 인쇄물 배부·게시를 금지하는 공직선거법 제93조 제1항 본문 중 ‘인쇄물 살포’에 관한 부분 및 이에 위반한 경우 처벌하는 공직선거법 제255조 제2항 제5호 중 ‘제93조 제1항 본문의 인쇄물 살포’에 관한 부분(이하 ‘심판대상조항’이라 한다)이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지 여부(적극)나. 헌법불합치결정을 선고하면서 계속 적용을 명한 사례 2번 관련 판례 2021헌바233가. 선거운동기간 전에 공직선거법에 규정된 방법을 제외하고 선거운동을 한 자를 처벌하는 공직선거법 제254조 제2항(이하 ‘기간위반 처벌조항’이라 한다)이 공직선거법 제59조 단서 제4호의 개정으로 해당 공소사실에 더는 적용되지 않을 뿐만..

법원행시 2024.12.16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헌법 1책형 문제20번(정답 3번)

2014헌마7헌법재판소 2014헌마7 - CaseNote 헌법재판소 2014헌마7 - CaseNote casenote.kr[판시사항]가. 정당해산심판절차에 민사소송에 관한 법령을 준용할 수 있도록 규정한 헌법재판소법(2011. 4. 5. 법률 제10546호로 개정된 것) 제40조 제1항 전문 중 ‘정당해산심판의 절차’에 관한 부분(이하 ‘준용조항’이라 한다)이 청구인의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는지 여부(소극)나. 정당해산심판에 가처분을 허용하는 헌법재판소법(2011. 4. 5. 법률 제10546호로 개정된 것) 제57조(이하 ‘가처분조항’이라 한다)가 청구인의 정당활동의 자유를 침해하는지 여부(소극)제40조(준용규정) ① 헌법재판소의 심판절차에 관하여는 이 법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

법원행시 2024.12.11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헌법 1책형 문제19번(정답 4번)

아직 19번이지만 40번은 금방 다가올 거라고 믿고 계속 해봅니다.정답은 4번.2번인줄 알았는데 4번이네요.헌법재판소 2004헌바44 - CaseNote 2번의 경우 2004헌바44 판례를 보면[판시사항]가. 행정소송의 피고나 그 보조참가인인 행정청이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나. 온천을 정의하고 있는 구 온천법 제2조의 위헌 여부(소극)다. 시장·군수가 온천개발계획을 수립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시·도지사가 시장·군수에게 일정한 기간 내에 온천개발계획을 수립하도록 이행명령을 하여야 하고, 시장·군수가 그 이행명령도 이행하지 아니한 때에는 온천의 우선이용권자가 직접 온천개발계획의 수립 및 승인신청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한 구 온천법 제7조 제1항 단서가 시장·군..

법원행시 2024.12.09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헌법 1책형 문제18번(정답 3번) 아직도 18번이네 언제 40번까지 보지?

이번 문제는 3번인게 너무 명확해서관련 판결을 찾아보지 않았다.나는 왜 이 기출들을 보고있는 것일까.공부 중독. 활자 중독인것일까.사회를 지속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하는 쉬운 노력 중에 하나일 것이다.즐겁고 건강하고 행복한 연말을 보내자!!!

법원행시 2024.12.06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헌법 1책형 문제17번(정답 1번) 2019도3047

2019도3027 대법원판결[1] 동성인 군인 사이의 항문성교나 그 밖에 이와 유사한 행위가 사적 공간에서 자발적 의사 합치에 따라 이루어지는 등 군이라는 공동사회의 건전한 생활과 군기를 직접적·구체적으로 침해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경우, 군형법 제92조의6이 적용되는지 여부(소극)[2] 군인인 피고인 갑은 자신의 독신자 숙소에서 군인 을과 서로 키스, 구강성교나 항문성교를 하는 방법으로 추행하고, 군인인 피고인 병은 자신의 독신자 숙소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피고인 갑과 추행하였다고 하여 군형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들과 을은 모두 남성 군인으로 당시 피고인들의 독신자 숙소에서 휴일 또는 근무시간 이후에 자유로운 의사를 기초로 한 합의에 따라 항문성교나 그 밖의 성행위를 한 점 등에 비추어 피고..

법원행시 2024.11.29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헌법 1책형 문제16번(정답 4번) 관련 헌재판례모음

2021헌마130정보주체의 배우자나 직계혈족이 정보주체의 위임 없이도 정보주체의 가족관계 상세증명서의 교부 청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제14조 제1항 본문 중 ‘배우자, 직계혈족은 제15조 제1항 제1호에 규정된 가족관계증명서에 대한 상세증명서의 교부를 청구할 수 있다.’ 부분(이하 ‘심판대상조항’이라 한다)이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지 여부(소극)정보주체는 심판대상조항으로 인하여 전혼에서 얻은 자녀, 사실혼에서 얻은 자녀 등 현재의 혼인 외에서 얻은 자녀와 사명한 자녀[이하 위와 같이 가족관계 상세증명서에만 기재되는 자녀들을 ‘상세증명서 추가 기재 자녀’라 한다]에 관한 내밀한 개인정보를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배우자나 직계혈족에게 공개 당하게 된다. 그러나 상세증..

법원행시 2024.11.28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1차 시험 헌법 1책형 문제15번(정답 4번)

특별히 큰 문제가 없어서 이부분은 판례를 찾아보지 않았다.매일 이렇게 기출을 풀다보면 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하다.법률메카에서 가져온 자기관련성에 대한 답변은 다음과 같다.헌법재판소는 도로부지점용허가처분 등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사건에서,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에서 규정하는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로 인하여 기본권의 침해를 받은 자'는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로 인하여 자기의 기본권이 현재 그리고 직접적으로 침해받은 자를 의미하므로 원칙적으로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의 직접적인 상대방이 청구인적격이 있으나, 공권력의 작용의 직접적인 상대방이 아닌 제3자라고 하더라도 공권력의 작용이 그 제3자의 기본권을 직접적이고 법적으로 침해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제3자에게 자기관련성이 있다. 반대로 ..

법원행시 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