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행정고등고시 2

[2024.3.9.시행 제42회 법원행정고등고시] 제2차 시험 민법 문1 풀이

[문1-1]대법원 2000. 4. 11. 선고 2000다5640 판결 [채무부존재확인등] 에 따르면 B를 상대로 근저당권 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소를 제기해야 한다.이 사건 합의가 무효라고 주장하여 승소하는 것이 아니라 이 사건 근저당권의 피담보채무인 대여금이 모두 변제되었기 때문임을 주장하여야 할 것이다. 다시말해 乙이 가압류 등기를 하기 전에 근저당권 이전의 부기등기를 하였기 때문에 이 사건 합의가 무효라는 부분은 채권자 乙 이 제3자에게 직접 무효를 주장할 수 있다. 따라서 채권자가 대위권을 행사하는 대위소송에서 주장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대판2009.5.28. 2009다4787대법원 2000. 4. 11. 선고 2000다5640 판결 [채무부존재확인등]근저당권 이전의 부기등기는 기존의 주등기인..

법원행시 2024.10.10

[2025 법원행시] 공지사항 (2025년 국가공무원 5급 제1차시험 일정과 동일) +인사혁신처 기출 첨부

제일 중요한 사항! 2025년 법원행시의 경우 PSAT 준비해야합니다.한국사시험은 2023년 유효기간이 폐지되어서 기존에 취득하신 경우에는 다시 시험보지 않아도 됩니다.(필자는 2017년에 취득했기 때문에 다시 안봐도 됩니다.) 로스쿨이 생기면서 사시생들이 많이 빠져나갔기 때문에 법학도들에게는 블루오션이 아닐까 싶습니다.(반대로 찐만 남았다고 할 수 도 있겠습니다만)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종류 및 기준점수(등급)한국사능력검정시험(국사편찬위원회) 2급 이상 그렇다면 이제 준비는 어디서? 인사혁신처에서 PSAT 5급 기출을 살펴보는 것이 정답이겠죠?사이버국가고시센터 선택형 문제/정답 (gosi.kr) 사이버국가고시센터 선택형 문제/정답※ 전체내용이 안 보일 경우 좌우 스크롤을 이용하여 확인해주세..

법원행시 2024.09.24